교통사고 조건부 100 대 0 과실? 의도와 대처법
교통사고가 나서 상대방이 보험접수를 해줬는데 보험사에서 연락이 와서 대인 없이.. 렌트 없이.. 조건부 일방과실로 하겠다는 얘기가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요?
조건부 100% 과실은 상대방 보험사가 일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 과실비율 100%를 인정하겠다는 의미인데요. 처음부터 무조건 100% 과실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, 특정한 조건에서 상대방이 전적인 과실을 인정하는 경우입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FWDdjMLopwA
교통사고 조건부 과실 100%의 예시
1. 렌트를 안 쓰는 조건으로 과실을 100% 인정하는 경우
보통 주. 정차된 차량을 접촉한 사고에서 많이들 조건부 과실로 협의하는 경우인데요. 정상 주. 정차에서는 가해자 일방과실인 사고가 맞지만, 불법주정차 또는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피해자도 과실이 발생됩니다.
그럴 때 상대측에서 차량을 수리하는 기간 동안 렌트를 쓰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차량 수리에 대해서만 100% 진행해 주겠다는 의미인데요.
이외에도 상대방이 과실이 많은 사고임에도 내 과실도 일부 있을 경우에 렌트가 필요하지 않다면 렌트 없이 차량 수리만 처리받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.
2. 대인접수를 안 하는 조건으로 과실 100% 인정하는 경우
사람의 신체적인 조건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, 교통사고가 나서 보험접수가 되면 대인접수 요구도 많아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.
보통 대인접수를 안 하는 조건으로 하는 교통사고는 진로변경사고가 제일 많은 상황 일 것 같습니다. 진로변경하는 차량은 통상 70%의 과실을 직진하는 차량은 30% 과실을 주장하는데요.
피해자라도 30%의 과실이 발생된다면 보험료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. 그럴 때 상대측에서 인사를 접수 안 하는 조건으로 대물(차량)에 대한 피해만 100% 과실을 인정하겠다는 경우인데 내가 정말 아프다면 대인접수를 하시고 과실도 원칙적으로 따지는 것이 더 좋습니다.
하지만 병원을 갈 정도의 사고가 아니라면, 대물(차량)에 대해서만 100% 처리받는 것이 피해자든 가해자든 유리한 상황이 되겠죠.
교통사고 조건부 과실협의 문제점과 주의사항
과실을 100% 인정하면 인정하는 건데 왜 조건부로 진행을 하는 걸까요?? 상황마다 다르겠지만, 가해 측 보험사의 입장으로 봤을 때 대인을 접수하게 되면 가해자 측 고객의 보험료 할증의 영향을 덜하기 때문입니다.
렌트를 안 쓰는 조건으로 과실협의를 진행하는 이유 또한 렌트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지급되는 교통비와 렌트를 사용했을 때 렌트비의 금액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이죠.
조건부로 진행하다가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요. 첫 번째로는 내가 가해자든 피해자든 조건부로 과실을 진행했으나, 상대측에서 다시 딴소리를 했을 때 막을 방법이 없다는 거예요..
만약 상대방이 대인을 접수 안 하는 조건으로 내 과실을 100% 인정했는데 병원을 간다면? 렌트를 사용 안 하는 조건으로 내 과실을 100% 인정했는데 차량 수리기간 동안 렌트를 사용한다면?
내 보험사에 과실을 다시 원칙적으로 진행해 달라고 요청하셔야 합니다.
조건부로 진행하는 일방과실이 무조건 좋다 나쁘다 할 수 없습니다. 다만, 나의 상황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요. 내가 정말 병원을 가야 하는지 렌트를 사용해야 하는지는 본인이 알아서 잘 판단하고 과실을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교통사고 수리비, 부가세는 누가 내야 할까? (1) | 2025.04.01 |
---|---|
주정차 사고, 과실비율은 어떻게 정해질까? (0) | 2025.02.24 |
교통사고 후 경찰 신고, 사고접수 꼭 해야 할까? (0) | 2025.02.24 |
자동차 앞유리 돌빵 셀프 복원 내돈내산으로 해결하는 방법 (0) | 2025.02.17 |
자동차 유리 돌빵, 자차보험으로 수리 가능할까? (0) | 2025.02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