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2025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혜택 알아보기

카앤슈어 2025. 5. 7.

2024년부터 시행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. 청년이라면 최대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는 고금리 상품인데요.

 

5월 신청기간 및 조건을 확인하시고 혜택이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도록 합시다. 

 

 

청년도약계좌 5월 기간 및 조건

청년도약계좌-서민금융진흥원-일정-기간-캘린더
출처 : 서민금융진흥원

청년도약계좌는 신청할 수 있는 기간과 신청 후 자격 요건 심사를 거쳐 가입 대상자로 선정되어야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

 

계좌 개설 기간 내에 개설하지 않으면 신청이 무효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
 

2025년 5월 일정 05월 02일(금) ~ 05월 15일(금)까지 
나이 만19세 ~ 34세 (병역 이행시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)
개인소득 총소득액 7,500만원 (종합소득 6,300만원) 이하
가구소득 중위소득 250% 이하

신청은 각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하며, 신청 기간은 영업일 기준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입니다.

 

가입 신청 후 대상자로 안내받은 경우 계좌 개설 기간은 가구별로 차이가 있는데요. 

 

1인 가구 05월 22일(목) ~ 06월 13일(금)까지
2인 이상 가구 06월 02일(월) ~ 06월 13일(금)까지

청년도약계좌 혜택 알아보기

첫 번째로 정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일정 금액을 기여금 형태로 지원을 해주게 되는데요.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이 더 커지게 됩니다.

 

두 번째 비과세 혜택으로 5년 만기까지 유지하면, 이자소득세(15.4%)가 전액 면제됩니다. 쉽게 생각하면 일반 적금보다 수익률이 15% 이상 증가하는 효과라고 보시면 됩니다.

  • 예시 이자소득이 300만 원일 경우, 일반 상품은 약 46만 원 세금이나 청년도약계좌는 0원 납부

세 번째 복리효과와 고금리 수익률인데요. 은행마다 제공하는 기본 금리는 약 3.5%~4.5% 수준이나 정부기여금과 이자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된다면 실질적인 수익률은 약 6~7% 수준으로 시중 적금보다는 고금리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.

청년도약계좌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
청년도약계좌-2025년-홍보-남자-조건-혜택

청년도약계좌는 자유적립식으로 본인이 납입 금액을 설정할 수 있는데 월 최대 납입 가능액은 70만 원입니다. 고금리 및 비과세 혜택으로 최대 납입 가능액을 5년간 유지할 수 있는 분들이라면 70만 원을 추천드립니다.

 

월 70만 원씩 5년간 꾸준하게 저축할 경우 납입 원금은 4,200만 원, 이자 및 지원금을 포함한다면 약 5,000만 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는데요.

 

다만, 5년간 유지하는 조건인 경우에만 혜택이 적용되며 중도해지 시 기여금 회수 및 비과세 혜택이 소멸될 수 있으니 5년간 본인에게 맞는 납입 금액을 설정하여 유지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
 


청년희망적금이 처음 출시 되었을 때 인기가 굉장히 많았고 많은 청년들이 가입을 했는데요. 청년도약계좌도 많은 분들이 조건과 혜택을 확인해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목돈으로 마련하시길 바랍니다.

 

5년이라는 시간이 짧지만은 않기 때문에 일정한 근로 소득이 있는 사회초년생들이나 부모와 따로 사는 자립 청년들 목돈 마련이 필요한 청년들에게는 아주 좋은 상품인 것 같습니다. 

댓글